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은 한글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규칙을 말한다. 한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은 비한국어 화자와의 의사소통, 지명, 인명, 상호명 등의 고유 명사 표기의 통일성을 위해 필요하다. 주요 표기법으로는 대한민국 표준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과거에 널리 사용되었던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표준인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학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예일 표기법 등이 있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2000년 문화관광부 고시로 제정되었으며, 발음 변화를 반영하고 기계 가독성을 고려하여 특수 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은 1992년에 제정되었으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유사하지만 자음 및 모음 표기에서 차이를 보인다. 예일 표기법은 언어학 학술 논문 등에서 사용되며, 발음 변화를 반영하지 않고 한글 표기를 로마자로 옮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로마자 표기법은 전사, 음역, 이음 처리, 음운 변화 반영, 보조 기호 사용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인명, 기업명 등에서 관습적인 표기가 혼용되어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조지 M. 매큔과 에드윈 O. 라이샤워가 개발한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며, 유기음과 모음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아포스트로피와 브레베 등의 기호를 사용하고, 대한민국과 북한에서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다른 표기법이 사용된다. -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 맥 매큔
맥 매큔은 한국 관련 연구자이자 교육자로, 에드윈 O. 라이샤워와 함께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발표했으며, 옥시덴탈 칼리지에서 한국어와 한국사를 가르치고, 한국학 발전에 기여하다가 심장 문제로 사망했다. - 한국어 어문 규정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어문 규정 -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은 한국어 표기 규칙을 정한 규정으로,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기반으로 1988년 개정되어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남북한 맞춤법 차이 및 띄어쓰기 규정 개선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한국어에 관한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에 관한 - 이두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신라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어의 형태소와 문법 요소를 나타내는 데 활용되었으며 훈민정음 창제 이후 사용이 줄었지만 한국어 표기법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 |
---|---|
개요 | |
유형 | 표기법 |
목적 | 한국어 단어와 구절을 로마자로 표현 |
언어 | 한국어 |
역사 | |
주요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예일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특징 | |
방향 | 왼쪽에서 오른쪽 |
주요 체계 | |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RR) | 대한민국 공식 표준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MR) | 오래된 사실상의 표준 |
예일 로마자 표기법 | 언어학적 표기 |
사용 | |
용도 | 언어학 지도 제작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컴퓨터 입력 방법 |
관련 항목 |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목록 로마자 표기법 한글 음역 전사 (언어학) |
로마자 표기법 (한국어) | |
발음 | /ˈɾoma̠d͡ʑa̠ pʰjoɡiβʌ̹p̚/(국제 음성 기호) |
로마자 표기 | Romaja pyogibeop |
2. 표기법의 필요성
한글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문자가 아니기 때문에 한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글 표기를 읽을 수 없는 비한국어 화자나 그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알려야 하는 경우, 한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해 의사소통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지명, 인명, 상호명 등과 같은 고유 명사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 로마자 표기 규정에 따르면, 표기가 통일되어 의사소통이 원활해지고 정보 검색 등이 편리해진다.[2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예일 로마자 표기법,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등이 널리 사용된다.
3. 주요 표기법
한글 | 널리 | 인간을 | 이롭게 | 하라 |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neolli | inganeul | iropge | hara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nŏlli | in'ganŭl | iropke | hara |
예일 표기법 | nelli | inkanul | ilopkey | hala |
두벌식-QWERTY | sjffl | dlsrksdmf | dlfhqrp | gkfk |
3. 1. 대한민국 표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4-0042호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표기법이다.[21] 2000년 7월 7일, 문화관광부는 새 로마자 표기법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채택한다고 발표했다.[4]대한민국은 분단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별도로 로마자 표기법을 제정해왔다.
- 문교부 1948년식: 정식 명칭은 "한글을 로오마 자로 적는 법한국어"이다. 대한민국 건국 후 1948년 문교부가 제정한 "들온말 적는 법한국어"의 부록으로 제정되었다. 격음 표기에 'h'를 사용하며, 음절 말 자음 표기는 발음과 한글 표기를 혼용했다. (예: 있다한국어 itta , 앞만한국어 aphman )
- 문교부 1959년식: 정식 명칭은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한국어"이다. 평음에는 유성 자음(b, d, g), 격음에는 무성 자음(p, t, k)을 사용하며, 보조 기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현행 표기법과 유사하나, "ㅃ한국어, ㄸ한국어, ㄲ한국어"을 "bb, dd, gg"로, "ㅝ한국어"를 "weo"로 표기하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 종성 표기에도 유성 자음을 사용하여 음역에 가까운 면이 있다. (예: 박한국어 → bag)
- 문교부 1984년식: 정식 명칭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한국어"이다. 1984년 1월 13일 문교부 고시 제84-1호로 제정되었다. 표기법 내용은 M-R식과 대부분 동일하나, "ㅅ한국어"을 모음 "i" 앞에서 "sh"로, "ㅝ한국어"를 "wo"로 표기하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 한글 학회는 이 방식이 한국인에게 이해하기 어렵고 불편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문교부 1959년식에 기초한 "우리말 로마자 적기한국어"를 1984년 2월 21일에 발표했다.
- 문화관광부 2000년식: 정식 명칭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한국어"이다. 2000년 7월 7일 문화관광부 고시 제2000-8호로 제정되었다.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는 로마자 표기법으로, 문교부 1959년식의 흐름을 계승하고 있으며, 보조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전사를 목적으로 하지만, 음역 방법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3.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표준: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은 1992년에 제정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현행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유사하게 모음 표기에 'ŏ'와 같은 보조 기호를 사용한다. 그러나 격음 표기에 'h'를 사용하고(예: ㅊ은 'ch'), ㅈ을 항상 'j'로 표기하는 등 1955년식 표기법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차이를 보인다.[21]ㄹ의 비음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고, ㄹ이 겹쳐질 경우 'lr'로 표기한다. 또한 ㅉ은 'jj'로 표기한다. 일부 국제적으로 정착된 명칭(예: 평양→Pyongyang)에서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등 기존 표기도 인정하며, 보조 기호 생략도 허용한다.[21]
3. 3. 학술 분야: 예일 표기법
예일식은 예일 대학교의 새뮤얼 마틴이 고안한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다. 언어학 학술 논문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예일식은 한글로 된 한국어 표기를 로마자로 옮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발음이 반드시 반영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넓겠는데|넓겠는데한국어"는 "nelpkeyssnuntey"로 표기된다 (실제 발음은 반영되지 않음). 그 외에, 중세 한국어를 위한 표기법과, 북한의 언어에만 나타나는 어두의 ㄹ|ㄹ한국어, ㄴ|ㄴ한국어을 위한 표기법 등도 있다.[21]한글 | 널리 | 인간을 | 이롭게 | 하라 |
---|---|---|---|---|
예일 표기법 | nelli | inkanul | ilopkey | hala |
3. 4. 기타 표기법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1939년 미국인 조지 M. 매큔과 에드윈 O. 라이샤워가 개발한 방식으로, 현재도 서양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된다.[1] 이는 한국어의 체계적인 로마자 표기법의 선구라고 할 수 있다. 1984년부터 2000년까지 대한민국에서 수정된 버전이 사용되었다.이 방식은 한국어 음역을 목적으로 한 표기법으로, 한국어 소리를 라틴 문자로 옮기는 것이지 철자를 옮기는 것은 아니다. 'ㅓ, ㅕ, ㅐ, ㅚ'를 'u, yu, ai, oi'로 표기하는 예가 널리 보이는데, (:en:Kim Il-sung (인물・김일성), :en:The Chosun Ilbo (신문・조선일보), :en:Choi (Korean surname) (성씨 최), 현대(Hyundai)(기업 그룹・현대/현대/현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두벌식-QWERTY (예: 위키백과 → dnlzlqorrhk)는 넓게 보면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한 종류로 볼 수 있으며, 실제로 온라인에서 아이디나 비밀번호를 만들 때 자주 쓰인다.
4. 역사
19세기부터 다양한 로마자 표기법이 개발되었다. 1832년 독일 의사 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가 일본에서 거주하며 만든 체계가 초기 로마자 표기법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23] 1835년에는 선교사 월터 헨리 메드허스트가 한국어 로마자 표기 체계를 발표했다. 1874년에는 달레 체계가 도입되었는데, 이는 프랑스어 음운론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한국어 로마자 표기에 분음 부호를 사용한 최초의 체계였다.[23] 1882년에는 존 로스의 이름을 딴 로스 체계가 선교사들에 의해 채택되었다.[23]
1895년 호머 헐버트가 로마자 표기법을 발표하였고,[23] 1897년, 제임스 스카스 게일은 자신의 저서 ''한영사전''에서 자신의 체계를 소개했다.[23] 1933년에는 한국어 학회에서 통일 한글 맞춤법에 첨부된 한국인이 개발한 최초의 로마자 표기법이 공포되었다. 1939년에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이 발표되어 오랫동안 사실상 표준으로 사용되었다.[24]
분단 이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각각 별도로 로마자 표기법이 제정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48년 문교부(현 교육부)에서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을 제정하여 1958년까지 공식 표기법으로 사용하였다. 이 표기법은 격음 표기에 'h'를 사용하고, 음절 말 자음 표기는 발음과 한글 표기를 혼용하는 방식이었다. 1959년에는 '한글 로마자 표기법'이 제정되어 1983년까지 사용되었다. 이 표기법은 평음에는 유성 자음을, 격음에는 무성 자음을 사용하며, 보조 기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1984년에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고시되었는데, 이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대부분 동일하며, 'ㅅ'을 모음 'i' 앞에서 'sh'로 표기하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2000년에는 현재 사용되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제정되었는데,[24] 이는 문교부 1959년식의 흐름을 계승하고 있으며, 전사를 목적으로 하지만, 음역 방법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1955년, 1992년에 각각 로마자 표기법이 제정되었다.
5.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 비교
대한민국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은 기본적인 틀은 유사하지만, 세부적인 표기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특히 격음, 경음 표기 방식과 일부 모음 표기 방식에서 차이가 두드러진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M-R식)과 예일 표기법, 그리고 남북한의 현행 로마자 표기법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자음 비교
문자 | |||||||||
---|---|---|---|---|---|---|---|---|---|
ㄱ | ㄲ | ㄷ | ㄸ | ㅂ | ㅃ | ㅈ | ㅉ | ㅊ | |
남2000년식 | g/k | kk | d/t | tt | b/p | pp | j | jj | ch |
북1992년식 | k/g | kk | t/d | tt | p/b | pp | j | jj | ch |
M-R식 | k/g | kk | t/d | tt | p/b | pp | ch/j | tch | ch’ |
예일식 | k | kk | t | tt | p | pp | c | cc | ch |
모음 비교
문자 | ||||||||||||
---|---|---|---|---|---|---|---|---|---|---|---|---|
ㅏ | ㅓ | ㅗ | ㅜ | ㅡ | ㅐ | ㅔ | ㅚ | ㅟ | ㅢ | ㅙ | ㅞ | |
남2000년식 | a | eo | o | u | eu | ae | e | oe | wi | ui | wae | we |
북1992년식 | a | ŏ | o | u | ŭ | ae | e | oe | wi | ŭi | wae | we |
M-R식 | a | ŏ | o | u | ŭ | ae | e | oe | wi | ŭi | wae | we |
예일식 | a | e | o | wu | u | ay | ey | oy | wi | uy | way | wey |
표기 예시
한국어 | M-R식 | 예일식 | 한국 2000년식 | 북한 1992년식 |
---|---|---|---|---|
김포 | Kimp’o | Kimpho | Gimpo | Kimpho |
부산 | Pusan | Pusan | Busan | Pusan |
대구 | Taegu | Taykwu | Daegu | Taegu |
금강산 | Kŭmgangsan | Kumkangsan | Geumgangsan | Kŭmgangsan |
신의주 | Sinŭiju | Sin.uycwu | Sinuiju | Sinŭiju |
조선 (朝鮮) | Chosŏn | Cosen | Joseon | Josŏn |
6. 로마자 표기법의 문제점과 과제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과 과제를 안고 있다.
우선, 로마자 표기법이 한국어 소리를 옮기는 전사를 목적으로 하는지, 아니면 한글 글자를 로마자로 바꾸는 음역을 목적으로 하는지에 따라 표기 형태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읊는다'는 발음대로 전사하면 'eumneunda'가 되지만, 음역하면 'eulpneunda'가 된다.
한국어 | 발음 | 전사 | 음역 |
---|---|---|---|
읊는다한국어 | eumneunda | eulpneunda | |
넓겠는데한국어 | neolgenneunde | neolbgessneunde |
일반적으로는 소리를 전사하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학문 연구 등 특수한 경우에는 음역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음 처리 방식도 문제가 된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M-R식)에서는 평음을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는데, 이는 한국어 화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는 'sagwa', '과일'은 'kwail'로 표기하는 식이다. 문화관광부 2000년식에서는 초성의 평음을 항상 유성 자음자로 표기하지만, 어두에서 무성음화되는 경우에도 유성 자음자로 표기하여 외국인에게는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김포'는 실제로는 로 발음되지만, 로마자 표기는 'Gimpo'가 된다.
음운 변화를 어떻게 반영할지도 논란거리다. 예를 들어 평음의 된소리화에 대해 M-R식에서는 변화를 반영하지만(예: 압구정한국어 Apkujŏng), 문화관광부 2000년식에서는 반영하지 않는다(예: 압구정한국어 Apgujeong).
보조 기호 사용 여부도 문제다. M-R식에서는 'ㅓ', 'ㅡ'를 'ŏ', 'ŭ'로 표기하는 반면, 문화관광부 2000년식에서는 'eo', 'eu'로 표기한다. 전자는 알파벳 한 글자로 표기할 수 있지만, 특수 기호 때문에 불편할 수 있다. 후자는 기존 문자를 사용하지만, 'eu'를 '에우'로 읽는 등 오해의 소지가 있다.
문화관광부 2000년식은 현재 한국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인명, 기업명 등에서는 관습적인 표기가 혼용되어 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여권에 기재되는 이씨의 로마자 표기는 "Lee, Yi, Ri, Rhee, Yee" 등 매우 다양하다.[3]
이러한 문제는 과거 보수 정권에서 충분한 사회적 합의 없이 표기법을 제정한 탓도 있다. 특히, 여권 등에서 통일되지 않은 로마자 표기로 인해 불편이 초래되기도 한다.
참조
[1]
논문
How to romanize Korean characters in international journals
https://www.escience[...]
2017-08-16
[2]
웹사이트
ALA-LC Romanization Tables
https://www.loc.gov/[...]
[3]
뉴스
Father's surname is Shim, son's is Sim... What is the story behind the "Hercules" father and son?
https://sports.news.[...]
Sports Chosun
2023-07-12
[4]
웹사이트
2005년까지 연차적으로 도로표지판을 바꾸는 데 5000억~6000억원이 들고
http://monthly.chosu[...]
Monthly Chosun
2019-05-22
[5]
웹사이트
Charles Dallet, Histoire
http://anthony.sogan[...]
2024-01-19
[6]
서적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http://archive.org/d[...]
Société des missions étrangères
[7]
논문
Aperçu de la langue coréenne
https://fr.wikisourc[...]
1864
[8]
웹사이트
Korean Romanization Reference
http://www.glossika.[...]
[9]
웹사이트
Shibu Shohei System of Korean Romanisation
https://www.tufs.ac.[...]
2024-01-19
[10]
웹사이트
KORDA
https://help.keyman.[...]
[11]
서적
Советское языкознание, т.1. Л., 1935
[12]
웹사이트
Ким Герман.Рассказы о родном языке.Рассказ 4.Неудавшаяся революция в корейской письменности
http://world.lib.ru/[...]
[13]
서적
Encyclopedia of Linguistics
Taylor & Francis
[14]
웹사이트
Updates to the Report on the Current Status of UN Romanization Systems for Geographic Names
https://unstats.un.o[...]
United Nations
2019-09-30
[15]
웹사이트
Argument for horizontal writing of Hangul
http://www.hangeul.o[...]
[16]
논문
Another language that failed? The beginnings of 'Soviet' Korean in the Russian Far East, 1922-1937
https://www.academia[...]
2024-01-01
[17]
논문
Another language that failed? The beginnings of 'Soviet' Korean in the Russian Far East, 1922-1937
https://www.academia[...]
2024-01-01
[18]
뉴스
115년 전 한글 로마자표기법 발표한 외국인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0-10-03
[19]
웹사이트
로마자표기법 [Romanization]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20]
백과사전
로마자표기법 [─字表記法]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1]
웹사이트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4-0042호
https://www.mcst.go.[...]
[22]
웹사이트
'로마자 표기법'의 필요성
https://ko.dict.nave[...]
네이버 국어사전
[23]
뉴스
115년 전 한글 로마자표기법 발표한 외국인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0-10-03
[24]
간행물
문화관광부 고시 제2000-8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